문화유산
문화재현황
HOME > 전통문화 > 문화유산 > 문화재현황
임실이도리미륵불상
임실읍 이도리 미륵불상은 높이 2.54m. 어깨폭 81cm로 수정마을 운수사(雲水寺)에 남아있다. 운수사는 창건연대와 설립경위는 전해지지 않고 있으나 백제시대의 유물로 추정되고 있다. 1993년 8월 31일 전라북도유형문화재 제145호로 지정되었다.
· 위 치 | 임실읍 봉황 10길 109 |
---|---|
· 문의 및 안내 | 063-640-2542 |
· 전화번호 | 063-640-2542 |
· 홈페이지 | 없음 |
· 지정 현황 | 제145호 |
이용 안내
· 지 정 :도지정 - 유형문화재
· 종 목 :제145호
· 지정일 :1993.08.31
위치 정보
전북 임실군 임실읍 이도리
063-640-4004
전북 임실군 임실읍 두곡리
063-640-4004
전북 임실군 임실읍 봉황로 19-4 (성가리)
063-640-2344
전북 임실군 임실읍 치즈마을1길 4
063-643-3700
전북 임실군 성수면 도인2길 50 (도인리, 임실치즈테마파크)
063-643-3400
전북 임실군 임실읍 호국로 1630 (이도리, 전북119안전체험관)
063-290-5676
전북 임실군 임실읍 호반로 79-53
063-640-2316
전북 임실군 임실읍 호국로 1880-5
063-642-6606
전북 임실군 임실읍 운수로 26
063-642-3370
전북 임실군 임실읍 감천로 16-3
063-642-4141
전북 임실군 임실읍 수정로 46-13 (이도리)
063-644-3030
전라북도 임실군 임실읍 금성리 599-7번지
063-642-2928
전북 임실군 임실읍 봉황로 152
063-642-3045
전북 임실군 임실읍 운수로 26
063-643-2980
전북 임실군 임실읍 운수로 56
063-642-6750
전북 임실군 임실읍 운수로 40
063-643-0466
전북 임실군 임실읍 치즈마을1길 33
063-644-2811
전북 임실군 임실읍 수정로 46-22
063-644-3030
전북 임실군 임실읍 치즈마을 1길 4
063-643-4711
전북 임실군 임실읍 운수로 26
063-643-3435
전북 임실군 임실읍 춘향로 3013
063-643-4006
전북 임실군 임실읍 운수로 6
063-643-9253
전북 임실군 임실읍 중동로 16
063-642-2884
전북 임실군 임실읍 호국로 1630-20
063-643-3655
전북 임실군 성수면 도인2길 36
063-642-3204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홈페이지정보취급방침 고객서비스현장
(우)55927 전라북도 임실군 임실읍 수정로 30 | 대표전화 : 063)640-2344
COPYRIGHT© 임실군청 JEONBUK KR. ALL RIGHTS RESERVED
임실 이도리 미륵석불은 조성 기법으로 볼 때 그간 삼국시대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하였으나, 2016년 <임실군 불교유적 학술연구 용역 사업>을 통해 밝혀진 것에 의하면, 이도리 미륵불상의 법식은 양 어깨를 덮는 통견형태의 법의는 목 부분이 'V'자 형태의 옷깃이 있는 두루마기를 입은 형상이고, 석불입상의 가슴 중앙과 등쪽에 있는 수식(垂飾)은 조선시대 문인석에 장식된 수식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하였다. 글씨는 없다. 미륵을 받치고 있는 받침대는 연화문이 새겨져 있는 연화대이다. 이러한 추정의 결과 15세기 불상조각의 전통이 남아있는 16세기 석조불상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신증동국여지승람』 임실조에는 석불에 대한 이야기가 없으며, 1924년 『임실군지』에는 “본래 임실군은 지금의 임실면 봉황산 아래에 있었는데, 군의 수구에 나무를 심어 숲이 무성하게 되었고, 이름하기를 조개섬(蛤島)라 하였으며, 섬 가운데에 석불이 있었다.”라고 하고 있어서 섬가운데 석불이 이도리미륵불상을 지칭하는 것으로 보인다.
불상의 높이는 2.3m, 대좌의 높이는 29cm, 머리부분의 높이는 72cm, 머리부분 폭은 61cm, 무릅폭은 103cm, 무릅높이는 50cm이다.
전하는 이야기에 의하면, 옛날 화적떼가 임실읍의 부잣집만 골라 재산을 훔쳐 달아났다. 이들은 밤새도록 도망다녔으나 계속 읍내만 맴돌다가 붙잡혔는데, 이는 미륵불상의 영험 때문이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