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문화
임실의 역사
HOME > 전통문화 > 임실의 역사
임실의역사
삼한시대(三韓時代)
[一說]마한시대 신운신국薪(臣雲國)에 해당(『임실군지』 1977) |
---|
삼국시대(三國時代)
백제시대 ‘잉힐군(仍肹郡)’(『대동지지』)으로 거사물현과 마돌현을 거느림 |
---|
통일신라시대
759년(경덕왕 16) | 임실군(任實郡) 명명. 거사물현은 청웅현, 마돌현은 마령현으로 개칭함. |
---|---|
875년(헌강왕 원년) | 상이암 창건 |
894년 고려태조왕건 |
고려태조 왕건 상이암에서 기도하고 환희담을 남김 |
신라시대 |
진구사 건립 - 임실 진구사지석등(珍丘寺址石燈, 보물 267호) - 임실 용암리사지석조비로자나불상(도지정 유형문화재 제82호) |
후삼국시대
고려시대(高麗時代)
983년 | 전라도(全羅道) 전주목(全州牧) 밑에 임실군(任實郡)을 둠 |
---|---|
1250년 | 오수의견설화 등장(최자 『보한집』) |
1286년 | 영천부원군 이능간 출생 |
1380년 | 조선 태조 이성계 상이암에서 기도, 삼청동비(임실군향토문화유산 기념물 제2호) |
고려후기 | 학정리석불(도 유형문화재 87호) 건립 |
오수리석불(도 유형문화재 86호) 건립
옥정암지 마애석불 좌상 조성(임실군향토문화유산 기념물 제5호) |
조선시대(朝鮮時代)
1413(태종 13) | 임실현으로 고침 |
---|---|
1413(태종 13) | 임실향교 건립 |
1413(태종 13) | 태종 이방원 오원역 남교에서 군사활동 |
1455년 | 곽도, 이수 등 충의절신 노산아래 주천리 은거 |
1552년 | 둔덕방, 춘성정 종가 <이웅재고가>(민속자료 제12호) 건립 |
1592년 | 양대박 운암전투 |
1607년 | 덕암서원 건립 |
1619년 | 영천서원 건립(문화재자료 제20호), 관촌면 신흥사 건립 |
1621년 | 삼계강사 건립 |
1654년 | 주암서원 건립(문화재자료 제21호) |
1635년 | 학정서원 건립 |
1636년 | 충숙공 이상길, 병자호란당시 강화도 순절 |
1639년 | 설보 축조, 설보비 건립 |
1645년 | 독전어사 충경공 이상형 사망 |
1649년 | 이상형묘비(임실군향토문화유산 기념물 제1호) 건립 |
1663년 | 삼계석문(三磎石門) 새김(임실군향토문화유산 기념물 제3호) |
1664년 | 삼계서원 건립 |
1669년 | 신안서원 건립(문화재자료 제22호) |
1686년 | 영천서원 사액 |
1708년 | 최주하 오수찰방, 망북정(望北亭) 암각서 새김 |
1712년 | 신흥사 대웅전 중건(도 유형문화재 112호) |
1724년 | 『임실향교선생안』 작성 |
1759년 | 『여지도서』 임실 간행 |
1774년 | 주암서원 건립(문화재자료 제21호) |
1804년 | 관곡서원 건립 |
1872년 | 『임실현읍총』 작성 |
1872년 | 『호남읍지』 임실 간행 |
1879년 | 전해산 장군, 오수 국화뜰 출생 |
1895년 | 임실군으로 개편 『호남읍지』 임실 간행 |
1897년 | 삼계사립소학교 개교 |
1901년 | 성수면 영진학교 건립 |
1904년 | 『운수지』 발간 |
1906년 |
24면 359리, 월경지 및 두입지 정리로 남원군의 둔덕방 등 6방 편입 - 둔덕방, 말천방, 오지방, 석현방, 아산방, 영계방 |
1906년 | 청웅 삼화학교 개교 |
1906년 | 운암면, 천도교 임실교구 창립 |
1907년 | 이석용, 호남의병 창의동맹단 결성 |
1908년 | 임실영진학교 |
일본강점기
1911년 | 임실우체국 개국 |
---|---|
1911년 | 『조선어독본』 오수의견 설화 소개 |
1912년 | 이석용, 임자동 밀맹단 조직 |
1914년 | 이석용 의병대장 순국 |
1914년 | 부군면 통폐합 정리 - 남원군의 지사면(지사방), 덕고면 일부가 둔남면으로 편입 - 영계면(영계방) 순창군으로 편입 |
1919년 | 민족대표 33인의 한사람, 박준승 독립선언서 낭독 |
1920년 | 임실군 청사 건립(구 관아터) |
1924년 | 『임실군지』 발간 『조선어독본』 오수의견 설화 소개 |
1928년 | 운서정 건립(도지정 유형문화재 135호) |
1930년 | 천도교 임실교구(임실군 향토문화유산 기념물 제6호) 신축 |
1931년 | 오수역, 임실역, 오류역, 관촌역 설치 |
1935년 | 전라선(익산-여수) 개통 오천면을 관촌면으로 개칭 |
1938년 | 운암저수지 축조, 운암수력발전소 건립 |
1939년 | 오수 의용소방대, 오수의견비(민속자료 1호)를 원동산에 설치 염재 조희재(『염재야록』) 사망 |
1940년 | 오수망루(국가등록문화재 188호) 건립 |
대한민국
1951년 |
임실 청웅면 폐광사건(민간인 217명 사망) 6ㆍ25와 오수역 열차 습격사건 발생 |
---|---|
1956년 | 임실성당 건립 |
1957년 | 소충사(현충시설) 건립 |
1960년 | 『임실군지』 (한문본) 발간 |
1964년 |
벨기에 출신 지정환 신부 부임 임실문화원 창설 |
1965년 | 섬진강댐 준공 |
1965.7.5. | 12면 1출장소 130리 군조례 제91호(65. 7. 5공포)로 운암면에 하운암 출장소를 설치 |
1966년 |
치즈공장 건립, 치즈굴 조성 향토예비군 임실대대 창설 |
1967년 | 임실군 청사(이도리 970) 이건 |
1972년 |
새마을사업 시작 고 김시영, 삼계농요 조선일보에 소개 |
1973년 | 『국어』 오수의견 소개 |
1974년 | 산간 오지 부락마다 전화기 1대 설치 |
1975년 | 의견비각과 의견동상 건립 |
1977년 | 『임실군사(任實郡史)』 간행 |
1978년 | 임실읍 3ㆍ1운동기념비 제막 |
1979.5.1. | 1읍 11면 1출장소 130리 대통령령 제 9409호 (79.4.7공포)로 임실면이 읍으로 승격 |
1982년 | 제1회 오수의견문화제 |
1983.2.15. | 1읍 11면 1출장소 131리 대통령령 제11027호 (83.71.10공포)로 남원군 덕과면 금암리를 둔남면에 편입 |
1987년 | 제6탄약창 창설 |
1987.1.1. | 1읍 11면 1출장소 131리 대통령령 제12007호 (86. 12. 23 공포)로 정읍군 산내면 종성리 종성3리가 임실군 강진면 용수리에 편입 |
1989년 | 운암대교 준공 |
1990.4.1 | 행정구역 개편으로 관촌면 금성리가 임실읍으로 편입 |
1991년 | 임실군의회 개원 |
1992.8.10 | 둔남면을 오수면으로 개칭 |
1994 | 관촌면지 간행 |
1994.12.12 | 행정구역 개편으로 삼계면 신정, 망전리가 임실읍으로 편입 |
1995년 | 오궁리미술촌 개관 |
1997년 | 『임실군지(任實郡誌)』 개편 발행 |
1998년 | ‘아름다운 시절’ 촬영 |
2002년 | ‘YMCA 야구단’촬영, ‘광복절특사’ 촬영 |
2002년 | 임실호국원 개원 |
2001년 | 청웅, 미공군 F-16 추락 |
2007년 |
임실N치즈' 브랜드 개발 ‘이장과 군수’ 촬영 |
2010년 | 임실군 신청사(수정로 30) 이건 |
2010년 | 전라북도 보건환경연구원 신축이전 |
2011년 | 섬진댐 만수위로 범람 |
2014년 |
필봉농악 세계무형문화유산 등재 제35사단 임실이전 |
2015년 | ‘치외법권’촬영 |
2016년 | 옥정호 상수원 보호구역 해제 |
2016년 | 도 무형문화재 제35호 지장(紙匠) 김일수씨 지정 |
2016년 | 도 기념물 제134호 <임실 상가윷판형암각화 유적> 지정 |
2016년 | 『사촌지(沙村誌)』 간행 |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홈페이지정보취급방침 고객서비스현장
(우)55927 전라북도 임실군 임실읍 수정로 30 | 대표전화 : 063)640-2344
COPYRIGHT© 임실군청 JEONBUK KR. ALL RIGHTS RESERVED